세라젬에서 제6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 개최… R&D·수출·인재양성·제도개선 전략 발표
충청남도는 7월 16일 천안 소재 의료기기 제조업체 세라젬에서 ‘제6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를 열고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 이날 회의에는 김태흠 충남도지사를 비롯해 도 관계 공무원, 8개 바이오 관련 기업 관계자,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해 산업 현황을 공유하고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회의에서는 충남경제진흥원 경제동향분석센터가 국내외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의 최근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이어 도는 ‘충남 바이오 헬스케어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도는 이번 전략에서 신기술 연구개발(R&D) 및 미래 신산업 육성, 수출 확대를 통한 해외 경쟁력 강화, 전문 인력 양성, 행정·제도 기반 강화 등 4대 전략을 제시하고, 충남을 바이오헬스 융복합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오는 9월에는 바이오·의료 종합지원센터 개소를 통해 바이오의료기기 기술 고도화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11월에는 의약품 상용화센터 준공 및 공정개발혁신센터 착공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생산 인프라를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천안아산 R&D 집적지구 내 수면산업진흥센터를 활용해 수출용 제품에 대한 시험 인증과 국제 표준 기술 지원을 추진하며, 2027년까지 내포지역에 해외진출지원센터를 설립해 해외 규제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인재 양성 분야에서는 순천향대와 연계한 전문 연구 인력 양성, 2027년 개소 예정인 카이스트 그린바이오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그린바이오 전문가 육성 계획도 함께 발표됐다. 이와 함께 도는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하고, 의료기기 제조공정의 인공지능(AI)·스마트화 전환 사업 확대, 산·학·연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해 제도적 기반도 강화할 예정이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분명한 목표와 전략을 가지고 꾸준히 나아가고 있다”며 “연구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지역 내에 제대로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충남도는 이 산업을 50년, 100년을 내다보는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반드시 육성할 것”이라며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제 개선, 인재 양성, R&D, 수출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충청방송=유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