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 :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철희, 정종우 연구. 한국은행(c))
단기적 증가세 후 급감 전환… “지역 특화 고용정책 필요”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충청권의 생산연령인구와 경제활동인구가 향후 20년 안에 증감세가 교차하며 장기적으로는 모두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4일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전망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충청권이 수도권과의 인접성, 세종시 개발 등으로 인해 2022~2032년까지는 인구 증가 또는 유지세를 보이겠지만, 2030년대 후반 이후부터는 급격한 감소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충북과 충남 북부, 대전, 세종 일부 지역은 향후 10년간 생산연령인구가 유지되거나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세종시와 충북 북부권은 행정·산업 기능 확대로 인해 청년층 고용 기반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충청권 일부 시·군·구는 생산연령인구가 5%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이는 경북, 전남 등 타 지역의 급격한 인구 감소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장기 전망은 어둡다. 보고서는 2042년까지 대부분의 충청권 시·군·구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의 단양군, 괴산군,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과 충남의 예산군, 부여군, 서천군, 금산군, 태안군, 청양군은 모두 35% 이상의 인구 감소가 예측된다. 세종시와 충북 진천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감소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활동인구도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2022~2032년 사이에는 소폭 증가세가 유지되겠지만, 2042년까지는 30% 이상 감소하는 지역이 다수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충청권이 단기적으로는 수도권 대체 효과를 누릴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인구구조 악화에 따른 노동시장 충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세종시와 대전이 중심 도시로서 고용을 견인하더라도, 주변 농촌지역의 인구 감소 및 고령화가 가속화되면 지역 간 노동 공급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전반적인 경제활동참가율 제고만으로는 지역 간 격차 확대를 막기 어렵다”며, 청년층 유출 완화, 장년층 고용 활성화, 지역 특성에 맞춘 산업·고용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충청방송=이정미 기자)